#1 안전자산 금(골드)
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대표적인 안전자산은 바로 금이죠.
미중 무역전쟁이다, 이란 위기다,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다 해서 전 세계적으로 분위기가 매우 뒤숭숭한 요즘,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고 있습니다.
비트코인도 안전자산으로 분류되어 천 만원이 넘어가고, 미 달러, 달러 채권, 금 등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올라가고 있어요.
#2 금(골드) 실물을 살까?
쉽게 생각하면 금을 실물로 산다고 할 수 있죠. 그럼 가격을 한 번 볼까요?
카드에 붙어 있는 형태의 1g이 9만원, 아주 얇은 금박 형태에다가 크기가 아주 작은 3.75g이 28만원이네요.
이걸 샀다고 칩시다! 어디에 어떻게 보관하죠? 하루에도 몇 번씩 리모컨이며 차키며 핸드폰 찾으러 다니는데, 잃어버리면 어째요? ㅜㅜ
#3 KRX(한국거래소)와 증권사
KRX(한국거래소)가 지정한 증권사에서 실물의 금을 진짜 내 손에 쥐는 형식으로 사는게 아니고, 실물을 보증하는 증권 형태로 구매할 수 있어요!
단위로 매우 현실적입니다. 1g 단위로 구매가 가능해요!
대면, 비대면 계좌 개설 및 금 증권 거래가 가능한 증권사의 목록입니다. 기존 주식계좌가 있는 경우 별도 신청 없이 가능하네요.
#4 금(골드) 증권을 구매하는 방법
저는 기존에 미래에셋 주식거래 계좌가 있었어요. 미래에셋 어플을 켜서 다음 항목을 찾으시면 됩니다.
주식 탭에 [금 현물] 보이시죠?
그 하단에 [금 현물 현재가]에서 가격을 확인하고,
[금 현물 주문]에서 살 수 있습니다.
구매 가능 단위는 1g씩입니다. 작성일 기준으로 1g에 59,300원 정도 하네요.
위에서 실물 카드 형태의 금 1g 가격 기억하시나요?
바로 9만 3천원이었습니다!
세공비 등등을 제외하고 순수한 금 1g의 가격만 내고 구매할 수 있으며, 무엇보다 증권 형태로 구매하는 것이기 때문에 잃어버릴 염려도 없습니다.
소액으로 가능한 안전자산 금 투자!
금 구입을 고민하는 분이라면 참고가 되실 것 같아요.
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마칩니다. 감사합니다.
'재테크 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직장인 필수품! 연금저축 펀드, IRP(개인퇴직연금) 비교 및 정리! (수익률 16.5% 보장?!) (펀드/클래스/FOSS) (2) | 2020.02.04 |
---|